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카트바디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카트라이더: 드리프트





1. 개요
2. 카트바디 등급 및 업그레이드


1. 개요[편집]


다양한 외형의 카트
Kart Body

카트라이더: 드리프트에 등장하는 카트바디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이다.

원작 카트바디의 명칭이나 디자인을 가져온 카트바디도 있고,[1] 드리프트만의 오리지널 카트바디도 있다. 원작 카트바디의 경우 C1에서 X까지 다양한 시대의 카트바디를 골고루 가져온 편. 엔진 시스템은 단일 엔진으로 원작의 JIU 엔진을 기반으로 하며, 부스터 게이지 자동 충전 및 드래프트 시스템, 자동 변신 기믹이 반영되어 있다.[2]

2. 카트바디 등급 및 업그레이드[편집]


연습카트를 제외한 모든 카트바디를 초기 등급에 관계없이 루찌를 소비하여 최고 등급까지 확정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,[3] 매 업그레이드 단계마다 제공되는 기어[4]를 통해 카트바디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.[5] 다만 카트바디의 등급별로 매치메이킹 분리는 되지 않으므로 원활한 플레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카트바디를 최대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.

강화할 수 있는 항목은 아래의 4가지로, 강화를 하지 않은 상태의 카트바디의 성능, 그리고 각 강화 레벨별 성능 증가폭은 모든 카트바디가 동일하다.
  • 스피드: 주행 속도를 증가시킨다. 최고속도 뿐만 아니라 가속 수치도 일부 증가시킨다. 수치 변화 폭이 크지 않으나 부스터 사용 시 최고속도도 미세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부스터 가속 다음으로 투자할 가치가 있다.
  • 가속: 전진/후진 가속력을 증가시킨다. 스피드 수치와는 달리 순수하게 가속력만 증가시킨다. 물리엔진 특성상 드리프트 후 감속이 꽤 심하기 때문에 투자해 보면 생각보다 성능 체감이 크지만, 일반적으로 최고속도를 유지하면서 달리는 일이 많아 투자 우선순위는 부스터 시간 다음으로 낮은 편이다.
  • 부스터 가속: 출발/순간 부스터를 포함한 모든 부스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. 투자 시 성능 변화 폭이 가장 큰 수치이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1순위에 꼽힌다.
  • 부스터 시간: 출발/순간 부스터를 포함한 모든 부스터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. 속도는 변화가 없으므로 4가지 성능 중 업그레이드 우선도는 가장 낮으나, 기본 부스터 지속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적어도 기어 2개[6] 정도는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.
일반적으로 부스터 가속 최대, 스피드 최대 투자 후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 편이다. 팀전만 뛴다면 부스터 시간을 빼고 가속에 전부 투자해도 상관 없고, 그랑프리 때문에 개인전을 자주 하게 될 경우는 부스터 시간을 우선으로 두기도 한다.

시즌 4 기준 최대 강화 등급은 3단계인
영웅
등급이며, 추후 전설 등급이 추가될 예정이다. 최대 등급으로 업그레이드하더라도 모든 항목을 최대로 강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, 이미 투자한 기어 배분은 등급 및 장착한 기어 개수와 관계없이 5,000 루찌를 지불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.[7]

등급강화 정보
업그레이드 비용
(누적)
지급 기어
(누적)
강화 레벨 개수
일반
-
고급
3,500
(3,500)
7
(7)
20
희귀
7,000
(10,500)
7
(14)
24
영웅
15,000
(25,500)
8
(22)
32
전설
추후 출시 예정

모든 카트바디의 강화 레벨 개수 총합은 등급별로 모두 동일하고, 카트바디의 성능 최대 수치에 따라 아래의 5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.[8]
타입성능 최대 수치 배분[9]
고급
희귀
영웅
스피드형6·5·4·57·6·5·69·8·7·8
가속형5·6·5·46·7·6·58·9·8·7
부스터 가속형4·5·6·55·6·7·67·8·9·8
부스터 시간형5·4·5·66·5·6·78·7·8·9
밸런스형[10]5·5·5·56·6·6·68·8·8·8

카트바디 업그레이드 시 외형상 따로 바뀌는 점은 없지만, 리버리 메뉴에서 페인트 질감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. 고급에서는 크롬, 희귀에서는 무광, 영웅에서는 메탈 질감을 적용할 수 있고, 전설 등급에서는 지정된 패턴 중 한 가지를 카트바디에 적용시킬 수 있다.

3. 등장 카트바디[편집]

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기본 지급
프로토 · 연습 카트 · 해적 거북 · 코튼 · 버스트 · 솔리드 · 마라톤 · 세이버 · 뉴욕 머슬카 · 꽃마차 · 복돼지 · 삼바 · 노블 · 플레이 카트 · 넥슨 카트 · 에이블 카트 · 코멧 머슬 · 퀸텀 머슬 · 코스믹 머슬
상점
스톰 · 타이탄 · 에이스 · 브루터스 · 비밀 변기 · 드릴 · 뉴욕 택시 · 뉴욕 투어 버스 · 공부의 신 · 911 Turbo S Cabriolet · 플라즈마PT · 롤러 · 탐정 소파 · 어둠의 수호자 · 하운드 · 우유 배달 · 스쿠너 · 세이버 프로 · 플라즈마FT · BT21 캠핑버스 · BT21 드림카 · 세이프티 · 아이스크림 트럭 · 블랙 마크 · 페이라 · 샤크 호버 · 드링크 · 하마 · 파인애플 카트 · 이런 수박 · 개구리 · 스콜 윙 · 유령 호박 · 뱀파이어 · 백사 · 아이언 윌 · 마법 호박 · 무에르토 · 이클립스 베타 · 나이트 이글 · Pink Venom 슈퍼카 · 투 페이스 · 젠틀리 · 엔젤 · 데빌 · 메탈 로더 · 루돌프 · 코리스마튼 · 스위피
레이싱 패스
소방차 · 오로라 · 저스티스 · 인더스트 · 스마트 모빌리티 · Macan GTS · 나이트우퍼 · 굴착기 · 킬러 · 렉카 · 흑룡 · 플라밍고 · 마린 · GT60 · 솔라 · 블러드 · 박쥐 · 화이트 멜로우 · 이클립스 알파 · 마피아 · 닌자 · 빌런 · 몬스터
그랑프리
스팀 클래식 · 양산형 모빌리티 · 스카이로켓 · 와일드 더스트 · 볼트 · KDI 경찰 트럭 · 검은 늑대 · 전기톱 · 어릿광대 · 핫도그
이벤트
광산 수레 · 스파이크 · 슈가 레빗 · 솔리드 프로 · 718 Boxster · F724 · 레이싱 트럭 · 장수풍뎅이 · 스파이더 · 캐리어 · 왕문어 · 퓨리파이어 · 서커스 · 요술복치 · 그래피티 · 2023 KDL 빅토리 이글 · 골드문 · 인더스틸 · 레드 블렛 · 리타이어
※ 취소선 : 현재 획득이 불가능한 카트바디
※ ℗ : 플랫폼 전용 카트바디
※ Ⓒ : 제휴 및 콜라보레이션 카트바디





3.1. 기본 지급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카트바디/기본 지급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3.2. 상점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카트바디/상점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3.3. 이벤트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카트바디/이벤트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4. 치장 파츠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치장 파츠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0 05:08:42에 나무위키 카트라이더: 드리프트/카트바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개중에는 광산 수레처럼 원작에서 더미 데이터로만 존재했던 카트바디도 있다. 참고로 원작에서 광산 수레의 개발 코드명은 mine1으로, 1은 C1 엔진을 의미한다.[2] 원작보다 변신 모션이 눈에 띄지 않고, 뉴욕 투어 버스처럼 변신이 존재하지 않는 카트도 존재한다. 다만 연습카트, 스톰, 뉴욕 택시, 뉴욕 머슬카 등 변신 모션이 눈에 띄게 보이는 카트 또한 존재한다.[3] 글로벌 레이싱 테스트 당시에는 처음부터 5단계가 모두 열려있는 대신 영웅/전설 등급 강화에 각각 50%/25%의 성공 확률이 있었으나, 유저들의 피드백을 받아들여 기본 업그레이드 비용을 늘리는 대신 확정적으로 강화가 성공하도록 변경했다. 지금도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나오는 성공 확률 100% 문구가 그 흔적이다.[4] 기본으로 고급 등급 이상인 카트바디의 경우, 이에 상응하는 기어가 기본으로 지급된다.[5]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 있던 JIU 엔진까지의 강화 시스템과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'카트 강화' 시스템을 차용했다.[6] 희귀 등급 기준 부스터 가속과 스피드에 모든 기어를 투자하면 기어가 2개 남았기 때문이다. 2개만 투자해도 생각보다 불편함이 크지 않아 2개만 투자해도 된다는 정보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.[7] 기존에는 등급에 따라 누적 지급 기어 × 1,000 루찌를 지불해야 했으나, 2023년 4월 6일 패치로 인하 및 통일되었다.[8] 카트 업그레이드 차별화는 2023년 4월 6일, "모든 카트바디 성능 통일" 기조를 "모든 카트바디의 초기 상태 성능 통일"로 일부 수정하면서 Macan GTS, 세이버, 버스트, 솔리드, 마라톤에 선행 적용되고, 2023년 7월 13일 시즌 3 패치로 신규 카트바디에도 적용되었다. 영웅 등급 출시 이후에도 위 카트바디들의 업그레이드 수치는 희귀 최대치 + 2의 형태로 대부분 유지되었지만, 예외로 희귀 등급에서 7·5·7·5 배분을 가지던 Macan GTS는 영웅 등급에서 스피드형의 9·8·7·8로 변경된다.[9] 스피드/가속/부스터 가속/부스터 시간 순.[10] 시즌 2 이전에 출시된 대부분의 카트바디에 해당된다.